728x90
반응형
1. AWS 인스턴스에 구매한 도메인을 연결할 경우(AWS가 아닌 다른곳에서 구매), Route 53 메뉴를 이용한다.
2. 대시보드 > 호스팅 영역 : 호스팅 영역 생성 클릭
3. 우측에 '호스팅 영역 생성' 이 나타나면 '도메인 이름(구매한 도메인)'을 입력 > 생성
4. 생성된 도메인 선택 > 상단의 '레코드 세트로 이동' 클릭
5. 레코드 유형 'NS' 항목의 '값'을 도메인 구매한 사이트의 네임서버에 입력한다.
6. 가비아에서 도메인을 구매 했을경우, 도메인관리 > 네임서버에서 설정
7-1. 레코드 유형 'A' 추가 : 상단의 '레코드 세트 생성' 클릭 후 아래 내용을 입력한다.
7-2. 유형 A는 IP를 도메인 네임으로 연결해준다(예 : 200.19.100.5 > NAVER.COM)
- 이름 : 서브 도메인 네임 입력(루트 경로를 사용할 경우 빈칸으로 둔다)
- 유형 : A - IPv4 주소
- 별칭 : '아니오' 선택
- 값 : 고정IP(탄력적 IP) 입력
8-1. 레코드 유형 'CNAME' 추가 : 상단의 '레코드 세트 생성' 클릭 후 아래 내용을 입력한다.
8-2. 유형 CNAME은 도메인을 다른 도메인으로 연결해준다(예 : WWW.NAVER.COM > NAVER.COM)
- 이름 : WWW
- 타입 : CNAME- 정식 이름
- 별칭 : 아니요
- 값 : 루트 도메인 입력
9. 위의 설정들을 정상적으로 완료했다면 도메인명:8080으로 접속하면 된다.
728x90
반응형
'Study > SERV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WS - EC2 사용법 (0) | 2021.01.14 |
---|
댓글